본문 바로가기
1. 등산**산길/『智異山』지리산

청학동-삼신봉 / 늦은 봄날 지리능선을 조망하며..2012.05.19

by 송암. 2012. 5. 19.

지리산 삼신봉 1,285m

경남 하동군 청암면.

청학동 마을에서 삼신봉을 바라보면 완쪽부터 쇠통바위, 가운데는 내삼신봉, 오른쪽이 외삼신봉으로 세개의 봉우리가

눈에 들어온다. 이중 내삼신봉이 해발1354m로 가장 높지만 통칭 삼신봉은 이보다 해발이 낮은 1284m의 외삼신봉을

대표해 부른다. 삼신봉은 지리산 남부능선 한가운데에 우뚝 솟아 동으로는 묵계치를, 서쪽으로 상불재, 남으로는

청학동을, 북쪽으로는 수곡재와 세석을 이어주는 사통팔달 요충지다. 백과사전

 

 

 

산행일자: 2012년 05월 19일 (토)

산행코스: 청학동 탐방안내소-삼신봉-(원점회귀)

산행거리: 00㎞ 

산행시간: 3시 25분

 

봄의 끝자락에 어디로 갈까 몇번의 망설임에 지난 겨울 아무 생각없이 나섰다가 입산통제 기간이라 산행을 하지 못하고

되돌아왔다. 오늘 다시 친구부부와 나선 삼신봉 산행길 탐방소입구 10:40

 

지난 겨울 통제기간동안 탐방로를 한창 공사를 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깔끔하게 정비되어있다.

 

잠시 산행길을 벗어나 미륵골의 바위틈 물소리를 담아본다

 

울창한 숲길아래 정비된 등산길을 산행인이 한가로이 걷고있다

 

미륵골/ 계곡 중간에 뿌리를 드려내고 나무가 자라고있다

 

계곡의 작은 폭포가 약간의 더위 탓일까. 조금의 쉬원함을 느낀다

 

산행길 주변에 계곡이있고 약간의 습기간 있는곳이라 매미꽃이 곳곳에 피어 산행인을 피로를 달래준다

 

 

산행길에 몇 개의 이런 계곡의 너덜지내가 나타난다 하지만 정비가 되어있어 조금은 걷기에 편하다

 

늘어진 가지만 드리우고 있던 나무들이 이젠 제법 녹음으로 짙어간다

 

삼신천 11:33

 

요즘 비가 자주 내려서일까 삼신천 샘이 깨끗하고 물도 제법 많다. 목마름에 쉬원한 물 한 모금으로 목을 축이고..

 

 

잠시의 오르막을 지나자 왼쪽 능선이 조망된다 내삼심봉 능선으로 상불재 / 불일폭포로 이어지는 능선이다 11:45

 

삿갓재 아래 / 겨울내내 푸르름을 자랑하던 산죽들과 나무들이 새 생명에 조금씩 활기를 찾는 듯 하다

 

삿갓재의 푯말 / 삼신봉 외삼신봉으로 이어지는 갈림길 11:49

 

하지만 외삼신봉은 통제구간이라 갈 수 없다. 마침 공단직원분이 있어 문의하니 현재로서는 통제를 해제할 계획이

없다고하네요 11:50

 

 

 

왠 산중턱에 금낭화. 삼신봉 아래 능선길에 금낭화가 군락을 이루고 화사하게 피어있다 12:07

 

정상아래 세석, 외삼신봉으로 이어지는 안내푯말

 

 

통제구간이라 갈 수 없지만 외삼신봉으로 가는 능선

 

몇몇 산행인들이 정상의 여유로움을 취하고있다. 표지석에서 동행인들의 모습을 담아본다

 

며칠동안 날씨가 좋더니만 오늘 먹구름이 하늘을 덮고있다. 하지만 지리능선이 길게 조망되고 멀리 천왕봉도 드러난다

 

정상에서 오른쪽 외삼심봉

 

지리산 주능선 / 그속에 반야봉도 들어온다

 

 

정상의 암벽 오른쪽 벽에 누군가 쌓아놓은 듯 하다

 

정상아래에서 점심을 먹고 내삼신봉을 담아본다

 

 

삼신봉 정상부위에 몇 그루의 철쭉이 자리잡고 마지막 봄을 즐긴다

 

바위틈 다람쥐녀석이 봄나들이에 무엇을 먹고있는지 포즈를 취한다

 

삼신봉 앞 작은봉우리 13:09

 

 

고사목 사이로 외삼신봉 13:09

 

내삼신봉의 능선 13:10

 

하산길. 삼신봉과 외삼신봉의 갈림길인 삿갓재 13:13

 

내삼신봉에서 상불재로 이어지는 능선에 자리잡은 괴암을 당겨본다

 

물소리에 취하여 한발한발 발길을 내딛딘다

 

하산길 / 계단길이라 약간의 무릎에 통증은 있지만 그래도 정비된 산길이 편하다 13:24

 

 

안내소앞 도인촌으로 가는길 14:05

 

오늘도 무사하게 산행을 마치고...원점 회귀 청학동 탐방안내소 입구 14:05

 

산행입구 주차장 가로등이 산행인의 갈길을 안내한다 14:05

 

댓글


img[src*="new_ico_1"]{filter: sepia(100%) hue-rotate(-45deg) saturate(1000%) contrast(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