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 여행**가족·친구/친구 · 나들이 길에

의령여행 의병박물관 외 / 가을 날 홀로나선 의령 나들이 길..2015.10.16

by 송암. 2015. 10. 16.

의령 여행  2015.10.16.(금)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외

화창한 가을날.  사무실 행사 관련으로 의령을 방문하게 되었다. 잠시 시간을 내어 의령 남산(체육공원)·의병박물관

충익사 등을 갔다 올 생각으로 길을 나선다.

 

 

의령 체육공원 00:00 ~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외.

 

 

 

의령천에 설치된 아름다운 구름다리를 건너며

 

 

의령천의 모습도 담아본다

 

 

 

지나온 아름다운 구름다리

 

남산의 둘레길 안내도를 확인하고 길을 걷는다

 

의령 남산의 체육공원으로 가는 데크길을 따라 걷다 우측으로 난 길을 오른다 

 

수월사 앞 길

 

길을 따라 오르다 좌측으로 잠시 들린 수월사. 고요한 산사에 대웅전 앞 석탑만 묵묵히 서있다

 

수월사를 나와 체육공원으로 가는 길. 약간의 오르막 길이지만 소나무 숲길이 아늑하다

 

길옆 4기의 고분이 자리 잡고 있다

의령 중동리 고분군. 어느 시대의 누구의 고분인지 알 수 없고 오래전 도굴이 되었으나 이후 복원이 되었다 한다

 

 

남산 둘레길과 체육시설이 있는 공원으로 가는 갈림길. 위에서 소나무 숲길을 뒤로하고 되 돌아내려온다

 

 

의령 의병박물관 00:00 ~

경남 의령읍 충익로 1-25번지

기존의 의령군민 문화회관 내에 위치하고 있던 의령박물관을 충익사 기념관(보물 제671호 곽재우 유물 일괄 등 의병

관련 유물)과 합관하여 신축하면서 의병박물관으로 명칭 변경하였다. 백과사전

 

남산 산책길을 잠시 걷고 내려와 의병박물관에 들어서자 백마를 탄 홍의장군이 위엄을 드려내고 있다

 

정암진 전투를 재현한 디오라마

 

의병 관련 (강언룡교지) 교지들이 전시되어 있다

 

임진왜란 당시 사용한 무기들

 

임진왜란 당시의 복식

 

전시된 보물인 말안장

 

 

의령의 인물 악사 우륵

 

부림면 경산리 고분에서 출토된 말갖춤 복원모형

 

의령에서 출토된 국보와 보물들

좌측부터 수레바퀴 모양의 토기-삼국시대 / 연가칠년이 새겨진 부처-삼국시대 / 보리사지 금동여래입상-삼국시대 

 

베틀 어릴 적 간간이 보아왔단 베틀 이젠 이런 박물관에서나 볼 수 있다

 

의령 충익사 00:00 ~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의령읍 남산 밑에 위치한 충익사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나라를 지킨 의병장 곽재우장군과 그 휘하 장병들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백과사전

 

박물관을 돌아 나와 충익사(후문)로 발길을 옮긴다

 

 

사당 충익사에는 20위의 의병장 신위가 봉안되어 있다. 이중 2위는 무명 의병 제위 신위이다

 

충익사 앞의 반송이 아름답게 가꾸어져 있고 모든 것이 제자리에 놓여있는 듯 주변이 잘 정리되어 있다

 

충익사의 전경

 

 

충익사 앞. 모과나무 무척 오래된 듯한데 수령이 약 500년 정도로 추정..

암튼 저렇게 오래된  나무에  주렁주렁 매달린 모과가 탐스럽다

 

 

충의각. 곽재우 장군과 17장령의 증직명과 관향 등이 적힌 명판을 보관한 충의각이다.

극락세계를 염원하는 상여 모양을 본뜬 건물이다. 백과사전

 

 

의령 의병탑 00:00 ~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외.

탑은 곽재우 장군과 17인 장령의 위훈을 기리고 그들의 영혼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탑이다. 높이는 27m이며, 가운데

둥근 18개의 백색 고리는 곽재우 장군과 17장령을 상징하며, 백색 고리 양옆의 팔자형 기둥은 의병이 든 횃불을

상징한다. 백과사전

 

댓글


img[src*="new_ico_1"]{filter: sepia(100%) hue-rotate(-45deg) saturate(1000%) contrast(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