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 등산**산길/『臥龍山』와룡산127

용주사-새섬봉-수정굴 / 낙엽내린 산속을 길따라 걷다..2011.11.16 사천 와룡산 801.4m 경남 사천시 사남면 백천동 외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중심부에 사천의 상징인 와룡산은 해발 801m로 거대한 용 한 마리가 누워 있는 모습과 흡사하다하여 와룡산이라고 한다. 남녘 해안가에 자리잡은 이 산은 높이에 비해 산세가 웅장하다. 민재봉을 비롯한 새섬바위 에서 바라보는 다도해의 크고 작은 섬들과 푸른바다 조망이 일품이다. 백과사전 산행일자: 2011년 11월 16일 (수) 산행코스: 용주사(주차장)-도암재-새섬봉-갈림길(청룡사 가는길)-수정굴-도암재-청룡사(주차장) 산행거리: 00㎞ 산행시간: 3시간 15분 원불교앞을 지나 산행 초입 임도길 09:21 108탑을 지나며 오늘도 안산을 마음속으로 빌어본다 약불암위. 산행길 주변에 단풍으로 물든 나뭇잎 사이에 푸르른잎은 계절을 잊은 .. 2011. 11. 16.
용주사-새섬봉-민재봉 / 짙은 안개속 능선에서 가을을 즐기다..2011.10.29 사천 와룡산 801m 경남 사천시 사남면 백천동 외 한려해상 국립공원의 중심부에 있는 사천의 상징인 와룡산은 해발 801m로 거대한 용 한마리가 누워 있는 모습과 흡사하다 하여 와룡산이라고 한다. 남녘 해안가에 자리잡은 이 산은 높이에 비해 산새가 웅장하다 민재봉을 비롯한 새섬바위 능선에서 바라보는 다도해의 크고 작은 섬들과 푸른 바다 조망이 일품이다. 백과사전 산행일자: 2011년 10월 29일 (토) 산행코스: 용주사(주차장)-도암재-새섬바위-민재봉-새섬바위-도암재-용주사(원점회귀) 산행거리: 00㎞ 산행시간: 00시간 00분 주차장 도착 주변의 떨어진 나뭇잎은 가을을 재촉하듯 작은 바람에도 이리저리 날린다 08:39 잔뜩 흐린 날씨 속에 와룡산 산행길에 나섰다 산행 초입 한산한 임도길이 운치를 더한.. 2011. 10. 29.
백천골-민재봉 / 계곡의 물소리와 숲속의 산새소리따라 길을 걷다..2011.08.22 사천 와룡산 801m 경남 사천시 사남면 백천동 외 한려해상 국립공원의 중심부에 있는 사천의 상징인 와룡산은 해발 801m로 거대한 용 한마리가 누워 있는 모습과 흡사하다 하여 와룡산이라고 한다. 남녘 해안가에 자리잡은 이 산은 높이에 비해 산새가 웅장하다 민재봉을 비롯한 새섬바위 능선에서 바라보는 다도해의 크고 작은 섬들과 푸른 바다 조망이 일품이다. 백과사전 산행일자: 2011년 08월 22일 (월) 산행코스: 백천골-백천재-너덜-민재봉-백천골(원점회귀) 산행거리: 00㎞ 산행시간: 2시간 30분 백천골 산행길 입구 09:10 소나무 숲길 너덜지대에서 민재봉 능선 너덜지대 백천재 백천재 오르막길 위 뿌리를 드러낸 소나무숲길 09:54 진분계로 이어지는 갈림길 갈림길에서 드려 나는 새섬봉(바위) 민재봉.. 2011. 8. 22.
용주사-상사봉 / 바위조각의 형상을 따라..2011.08.03 사천 와룡산 801m 경남 사천시 사남면 백천동 외 사천의 상징인 와룡산은 해발 801m로 거대한 용 한 마리가 누워 있는 모습과 흡사하다하여 와룡산이라고 한다. 남녘 해안가에 자리잡은 이 산은 높이에 비해 산세가 웅장하다. 암릉으로 이루어진 새섬바위와 상사바위, 기차바위등의빼어난 암벽과민재봉, 새섬바위에서 바라보는 다도해의 크고 작은 섬들과 푸른바다 조망이 일품이다. 백과사전 산행일자: 2011.08.03.(수) 산행코스: 용주사(주차장)-상사봉-도암재-원불교-용주사(원점회귀) 산행거리: 5.5㎞ 산행시간: 2시간 30분 원불교옆 산행 입구 (천왕봉-상사바위-이라는 푯말이 보인다) 09:56 산행초입 등산길 약간의 오르막길을 올라 철탑 아래 능선길 이내 짧은 암릉길이 나타난다 10:30 전망대에서 삼천.. 2011. 8. 3.
진분계-민재봉 / 작은 소나무 숲길을 걸으며 여름을 즐기다..2011.06.04 사천 와룡산 801m 경남 사천시 사남면 백천동 외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중심부에 있는 사천의 상징인 와룡산은 거대한 용 한 마리가 누워 있는 모습과 흡사하다하여 와룡산이라고 한다. 남녘 해안가에 자리잡은 이 산은 높이에 비해 산세가 웅장하다. 암릉으로 이루어진 새섬바위와 상사바위, 기차바위등의 빼어난 암벽과 부드러운 억새 능선길 시원한 소나무 숲길을 품고 있다. 백과사전 산행일자: 2011.06.04.(토) 산행코스: 진분계마을-백천사갈림길-민재봉-진분계마을(원점회귀) 산행거리: 4.8㎞ 산행시간: 2시간 30분 진분계마을 뒤. 임도길에 주차를하고 고목나무아래 산길을 따라 산행을 나선다 길옆 숲속에 옹기종기 모여핀 노루귀 약간의 오르막 길 주변이 소나무 숲길이다 고요한 소나무 숲길이 걷기에 넘 좋다 너른바.. 2011. 6. 4.
용두공원-대포산-민재봉-새섬봉 / 와룡의 능선길을 걸으며 봄을 즐기다..2011.05.21 사천 와룡산 801m 경남 사천시 백천동 외. 사천의 상징인 와룡산은 해발 801m로 거대한 용 한 마리가 누워 있는 모습과 흡사하다하여 와룡산이라고 한다. 남녘 해안가에 자리잡은 이 산은 높이에 비해 산세가 웅장하다. 민재봉을 비롯한 새섬바위 에서 바라보는 다도해의 크고 작은 섬들과 푸른바다 조망이 일품이다. 백과사전 산행일자: 2011년 05월 21일 (토) 산행코스: 용두공원-용두봉-활공장-장고개-446고지-(대포산)거북바위-사자바위-기차바위-민재봉-도암재-와룡마을 산행거리: 00㎞ 산행시간: 00시간 00분 봄햇살이 아름다운 날 친구와 같이 와룡산 산행을 나선다 산자락에 자리잡은 용두공원에 도착 주차를하고 공원길을 걷는다 07:13 용두공원 공원길을 걸으며 저수지 뚝길위 상사바위와 새섬바위가 얼굴.. 2011. 5. 21.
용주사-상사봉 / 슬픈 전설속의 상사바위..2011.04.23 사천 와룡산 801m 경남 사천시 사남면 백천동 외 사천의 상징인 와룡산은 거대한 용 한 마리가 누워 있는 모습과 흡사하다하여 와룡산이라고 한다. 남녘 해안가에 자리잡은 이 산은 높이에 비해 산세가 웅장하다. 암릉으로 이루어진 새섬바위와 상사바위, 기차바위등의 빼어난 암벽과 부드러운 억새 능선길, 시원한 소나무 숲길을 품고 있다. 민재봉을 비롯한 새섬바위 에서 바라보는 다도해의 크고 작은 섬들과 푸른바다 조망이 일품이다. 백과사전 산행일자: 2011년 04월 23일 (토) 산행코스: 용주사(주차장)-상사봉- 도암재-주차장(원점회귀) 산행거리: 5.50㎞ 산행시간: 2시간 00분 개인적인 아침 일을 마치고 혼자 와룡산을 갈려다 친구에게 전화를 하여 동행을 하기로 하였다. 원불교 옆길을 따라 산행 초입길에 .. 2011. 4. 23.
용주사-새섬봉 / 잔설속 능선에서 봄의 기운을 느끼다..2011.02.12 사천 와룡산 801m 경남 사천시 사남면 백천동 외 사천의 상징인 와룡산은 해발 801m로 거대한 용 한 마리가 누워 있는 모습과 흡사하다하여 와룡산이라고 한다. 남녘 해안가에 자리잡은 이 산은 높이에 비해 산세가 웅장하다. 암릉으로 이루어진 새섬바위와 상사바위, 기차바위등의 빼어난 암벽과 부드러운 억새 능선길,시원한 소나무 숲길을 품고 있다. 민재봉을 비롯한 새섬바위 에서 바라보는 다도해의 크고 작은 섬들과 푸른바다 조망이 일품이다. 백과사전 산행일자: 2011년 02월 12일 (토) 산행코스: 용주사(주차장)-도암재-새섬바위(새섬봉)-용주사(원점회귀) 산행거리: 00㎞ 산행시간: 2시간 40분 산행 초입 임도길 09:06 아침 햇살 속에 108 탑 약불암 위 산행 초입길 도암재에서 상사바위 산행길의 .. 2011. 2. 12.
백천골-민재봉-새섬봉 / 얼어버린 백천계곡 길..2011.01.22 사천 와룡산 801m 경남 사천시 사남면 백천동 외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중심부에 있는 사천의 상징인 와룡산은 해발 801m로 거대한 용 한 마리가 누워 있는 모습과 흡사하다하여 와룡산이라고 한다. 남녘 해안가에 자리잡은 이 산은 높이에 비해 산세가 웅장하다. 암릉으로 이루어진 새섬바위와 상사바위, 기차바위등의 빼어난 암벽과 부드러운 억새 능선길, 시원한 소나무 숲길을 품고 있다. 백과사전 산행일자: 2011년 01월 22일 (토) 산행코스: 백천골-백천재-민재봉-새섬봉-원점회귀 산행거리: 00㎞ 산행시간: 00시간 00분 한산한 너덜 지대 백천재 백천재 위 차갑게 느껴지는 능선길 민재봉 아래 진분계 가는 갈림길에 소나무 민재봉 아래 능선길 09:51 상사바위. 와룡산 중턱에 있는 높이 60m쯤 되는 바위인.. 2011. 1. 22.

img[src*="new_ico_1"]{filter: sepia(100%) hue-rotate(-45deg) saturate(1000%) contrast(100%);}